[CEONEWS=서재필 기자] 추석도 다가오는데 외식 물가 상승에 한숨만 깊어지고 있다. 외식 물가가 천정부지로 오르는 탓에 직장인과 대학생들도 점심식사에 지갑을 열기가 고민된다.

한국소비자원 가격정보 종합포털 참가격에 따르면 올해 1월 서울지역 기준으로 대표적인 8가지 외식품목 평균 가격은 전년 동기 대비 10.8% 올랐다. 거리의 음식점을 방문하더라도 자장면 가격이 7000원을 훌쩍 넘는다.

외식물가 상승에 대한 소비 심리도 위축되고 있다. 한국은행이 발표한 '소비자동향조사' 결과에 따르면, 8월 소비자심리지수(CCSI)는 103.1로 전월(103.2)대비 0.1p 떨어졌다.

먼저 왜 외식 물가가 상승하고 있는지부터 파악해볼 필요가 있다. 지난해부터 미국 연준(연방준비제도)가 꾸준히 금리를 인상하고 있어, 우리나라도 화폐 가치를 지키기 위해 어쩔 수 없이 금리를 올려왔다. 올해 들어서 한국은행이 금리 동결 결정을 내렸지만, 이미 높은 수준의 금리가 지속될 것이라는 심리가 반영된 것으로 볼 수 있다.

공공요금 확대도 소비심리에 반영되고 있다는 점도 빼놓을 수 없다. 올해 들어 택시와 버스, 지하철 등 대중교통 요금이 인상됐고, 전기와 가스요금도 가정당 평균 4000원 가량이 인상됐다. 이러한 공공요금 인상은 소비심리 위축에 적잖은 영향을 끼친다.

이에 정부가 다급히 물가 통제에 나섰다. 유류세를 인하하고 가계 품목별 수급 안정 대책도 마련하고 있다. 하지만 허전하다. 무엇이 문제일까?

그 이유는 근원물가에 있다. 근원물가가 여전히 높은 수준이기에 물가 안정 대책이 실효성을 발휘하기 어렵다. 한국은행 이창용 총재 말에 따르면 지난 7월 소비자물가 증가율은 2.3%로 둔화했지만 근원물가는 여전히 3.3%를 기록하며 높은 수준을 유지했다.

물가 안정 정책을 ‘다급하게’ 내놓은 점도 아쉽다. 정부는 올해 둔화된 우리나라 경제성장률을 상승세로 전환시킨다는 방침을 내놓았는데, 물가가 안정되지 못하면 경제 부양 대책이 탄력을 받을 수 없기 때문이다.

22일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현안 질의에 참석한 한국은행 총재는 9월 근원물가가 3%대로 떨어지고, 내년 하반기쯤 2% 중반대로 떨어질 것이라고 바라보고 있다. 상황을 낙관하고 있지만, 긍정적으로 바라보기에는 미국의 금리 인상 기조, 중국의 경제 위기 등 글로벌 리스크가 너무 크다.

단순 지표만으로 이 현상을 바라보기엔 민생에서 피부로 느끼는 타격감은 어마어마하다. 한국은행의 낙관적인 전망과 달리 금융업계의 시선은 외식물가 상승의 영향으로 서비스 물가도 오르면서 시장 분위기는 더 침체될 수 있을 것이라는 목소리도 크다.

중요한 것은 정부의 직접적인 개입보다는 시장의 자생능력을 키워주는 것이 중요하다. 물가 안정을 위해 생산자와 기업들에게 소비자 가격 상승을 억제하는 것이 근본적인 해결책이 아니라는 사실도 여러 차례 시행착오를 겪으며 알고 있다. 공공요금 인하를 통한 소비자 부담 완화 등 다방면에서 고려된 물가 안정 대책이 필요한 시점이다.  

CEONEWS는 국제 의료 NGO ‘한국머시쉽‘의 활동을 응원합니다.
저작권자 © 씨이오뉴스-CEONEWS-시이오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