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배터리 발전전략’ 2030년 이차전지 매출액 166조 달성

문재인 대통령이 8일 충북 청주시 LG에너지솔루션 오창 제2공장에서 열린 K-배터리 발전전략 보고 ‘K-배터리, 세계를 차지(charge)하다’에서 발언하고 있다.(사진=청와대)
문재인 대통령이 8일 충북 청주시 LG에너지솔루션 오창 제2공장에서 열린 K-배터리 발전전략 보고 ‘K-배터리, 세계를 차지(charge)하다’에서 발언하고 있다.(사진=청와대)

[CEONEWS=오종호 기자] 문재인 대통령이 K-배터리 발전전략에 대해 “우리의 목표는 분명하다. 2030년까지 ‘명실상부한 배터리 1등 국가’가 되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를 위해 국내 전지 3사와 소재·부품·장비 기업들이 2030년까지 40조 원을 투자하고, 정부는 R&D·세제·금융 등을 적극적으로 지원하기로 했다. 

문 대통령은 8일 충북 청주시 LG에너지솔루션 오창 제2공장에서 열린 ‘K-배터리 발전전략 보고’에서 “우리는 2011년 일본을 넘어 소형배터리 시장 점유율 세계 1위로 올라섰고, 중대형 배터리에서도 중국과 선두 각축을 벌이고 있다”며 “배터리는 미래산업의 중심으로 급부상하고 있다. 반도체가 정보를 처리하는 두뇌라면 배터리는 제품을 구동시키는 심장과 같다”고 비유했다.

또 “탄소 중립의 열쇠도 배터리에 있다”며 “전기차를 비롯해 미래 수송 수단의 핵심이 될 배터리 기술의 발전은 한국 경제를 선도형 경제로 전환하는 핵심 동력”이라고 규정했다.

문 대통령은 그러면서 “글로벌 배터리 시장은 최근 5년간 두 배로 커졌고, 2025년에는 메모리 반도체 시장을 넘어설 것”이라고 전망하면서 “LG에너지솔루션, 삼성SDI, SK이노베이션이 중소기업들과 힘을 합쳐 2030년까지 총 40조 원 이상을 투자한다”고 전했다.

이를 위해 정부가 ▲ 파격적인 투자 인센티브 제공 ▲ 차세대 배터리 기술 조기 확보 ▲ 새로운 배터리 시장 창출 ▲ 연대와 협력의 산업생태계 구축에 적극적으로 나서겠다면서 “소재·부품·장비 기술의 해외 의존과 인력 부족 문제도 확실히 해결할 것”이라고 약속했다.

대통령의 이런 구상에 맞춰 문승욱 산업부 장관도 정부가 2030년까지 이차전지 산업 매출액 166조 원을 달성하기 위한 대규모 지원에 나서겠다고 밝혔다.
 
문 장관은 이를 위해 “국내 전지 3사와 소재·부품·장비 기업들이 오는 2030년까지 40조 원을 투자하고, 정부는 R&D·세제·금융 등을 적극적으로 지원하기로 했다”며 “이차전지 핵심기술을 국가전략기술로 선정해 R&D에 최대 40~50%, 시설투자에 최대 20% 세액공제 등 세제지원을 강화한다”고 말했다.

10년 내 이차전지 시장서 각국 위상 결정...민관의 역량 결집

이날 정부 관계부처가 합동으로 발표한 ‘K-배터리 발전전략’은 우리나라를 글로벌 배터리 산업 선도기지로 구축해 독보적인 1등 국가로 도약하기 위한 종합 지원 대책이다.

우리나라 배터리 산업은 소형배터리의 경우 10년째 1위를 수성하고 있으며, 중대형 배터리도 경쟁국과 1~2위를 다투는 높은 수준이지만, 미국·유럽·중국 등 주요국들이 제조기반 구축, 배터리 기술, 공급망 확보에 나서고 있어 향후 치열한 경쟁이 예상된다.

정부는 앞으로의 10년이 세계 이차전지 시장에서 각국의 위상을 결정지을 것으로 보고 이번 전략에 민관의 역량을 결집했다고 설명했다.

이 전략에는 전지 3사와 소·부·장 기업들이 2030년까지 40조 원 이상을 투자하고, 정부는 R&D·세제·금융 등을 지원해 우리나라를 글로벌 이차전지 연구·개발 허브와 선도 제조기지(Mother factory), 핵심 소부장 공급기지로 구축하겠다는 것이 골자다.

정부는 이번 전략을 통해 차세대 이차전지 1등 기술력 확보를 위한 대규모 연구·개발을 추진하고, 글로벌 선도기지 구축을 위한 연대와 협력의 생태계를 조성한다. 이를 위해 자원보유국과의 협력 채널 강화와 비축시스템 개선을 추진하는 한편, 이차전지 재활용을 통한 원재료 확보 기술을 구축한다는 목표다.

또 배터리 3사와 정부가 공동 출연하는 800억 원의 혁신 펀드, 국가전략기술 지정을 통한 세액공제, 개정 유턴법에 따른 인센티브 등을 지원하고, 올 2월 지정된 소부장 특화단지를 중심으로 산업생태계 구축에 나서기로 했다.

특히 정부는 이차전지 핵심기술을 국가전략기술로 선정해 R&D에 최대 40~50%, 시설투자에는 최대 20% 세액공제 등 세제지원을 강화하고, 석·박사급 설계·고도분석 인력을 늘리고 ‘기초·응용+특화, 기술애로 해결 교육’ 등을 통해 연간 1,100명 이상 전문인력도 양성한다.

문승욱 장관은 “배터리는 전동화, 무선화, 친환경화 등 산업의 미래 트렌드를 이끄는 핵심 산업“이라고 강조하면서 “반도체에 버금가는 또 하나의 주력산업으로 키워 가기 위해 정부가 전방위적 지원을 아끼지 않을 것”이라고 의지를 나타냈다. 

 

CEONEWS는 국제 의료 NGO ‘한국머시쉽‘의 활동을 응원합니다.
저작권자 © 씨이오뉴스-CEONEWS-시이오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