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EONEWS=서재필 기자] 최근 정부가 ‘민생을 살찌우는 반도체 산업’이라는 주제 아래, 경기 평택·화성·용인·이천·안성·성남 판교·수원 등 경기 남부의 반도체 기업과 관련 기관이 밀집한 지역 일대를 한 데 묶어 ‘반도체 메가 클러스터’를 조성한다는 내용을 발표했다.

경기 남부 일대 조성될 반도체 메가 클러스터는 2102만㎡ 면적에 2030년 기준 월 770만 장의 웨이퍼를 생산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는 세계 최대 규모다. 정부는 이번 메가 클러스터 조성으로 650조 원의 생산 유발효과가 발생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반도체는 현재 수출 중심의 대한민국에서 큰 축을 담당하는 주요 산업이다. 인건비와 자재 등에서 수지타산을 맞추기 위해 해외로 생산공장을 넓혔던 기업들이 코로나19,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전쟁 등을 겪으며 공급망 리스크를 안게 됐다.

사실 미국은 반도체 산업의 명가 재건을 목표로 삼성전자를 비롯해 여러 반도체 기업들에게 ‘미국에 수출하려면 미국에 공장을 지어라’라는 기조를 내세웠으나, 이는 기업들에게 아쉬움만 안겼다. ‘근면성실’함으로 무장한 아시아 근로자들의 생산력을 따라오지 못해서다.

TSMC 창업자인 모리스 창도 TSMC가 처음 미국에 반도체 파운드리 공장을 유치할 때부터 탐탁치 않아 했던 것도 이러한 이유에서 비롯됐다. 여기에 반도체는 어느 기업이든 국가 핵심 산업을 책임지고 있는 만큼 ‘보안’과 ‘기밀’ 차원에서 해외 공장 유치에 대해 긍정적인 시선이 일관될 수는 없다.

이러한 관점에서 정부의 반도체 메가 클러스터 조성은 ‘굉장하다’는 생각을 감출 수 없었다. 사실 삼성도 미국 테일러시에 새 파운드리 공장 완공을 앞두고 있지만, 이번 메가 클러스터에 500조원을 투자한다는 방침을 내비쳤다.

국가경쟁력 제고 차원에서 단연 국내 중심 생산 거점을 갖추는 것이 중요하다. 인력 수급에 대한 리스크 때문이다. 하나의 기업이 하나의 반도체를 생산하기 위해서는 각 국에 위치한 공장에서 각각 다른 업무로 ‘분업’을 해야만 한다. 이러한 프로세스도 결국 ‘비효율’이다.

단순 클러스터 조성에 그치지 않고 국내로 돌아오는 기업에 대한 세제 감면 혜택을 주는 것도 긍정적이라는 생각이다. 실제로 산업통상자원부가 해외에서 국내로 복귀하는 ‘유턴기업’에 보조금 및 법인세 감면 기간 확대를 통한 지원을 강화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특히, 반도체·디스플레이·이차전지·백신 등 국가전략·첨단전략기술을 보유한 유턴 기업이 비수도권에 투자할 시 기존 21%에서 45%로 기본보조율을 확대해 투자보조금을 지원한다. 법인세 감면 기간도 기존 7년에서 10년으로 연장할 계획이다.

이러한 정책은 결국 정부는 첨단전략산업 및 공급망 핵심 분야 등 고부가가치 기업의 유턴을 촉진하기 위함이다. 첨단산업 등의 유턴투자는 투자·고용 등 지역경제 활성화와 수출 동력 확보를 위해서도 매우 중요하다.

앞으로 조성될 반도체 메가 클러스터 조성과 국내 반도체 생산기업들의 약진을 기대해본다. 

CEONEWS는 국제 의료 NGO ‘한국머시쉽‘의 활동을 응원합니다.
저작권자 © 씨이오뉴스-CEONEWS-시이오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