퇴계 이황이 반해 붙여준 이름 무릉도원
신선을 맞이하는 바위 천연기념물 제543호 요선암
무려 3분의 조선 임금들이 시를 하사한 요선정
우리나라 5대 적멸보궁 법흥사

[CEONEWS=김관수 기자] 영월 서북쪽 무릉도원면. 그 이름부터 궁금해지는 이곳은 그저 평범한 시골로 보이지만 어쩐지 수상하고 오묘한 기운이 감지된다. 그 기운을 따라 골 깊은 곳으로 들어가면 인간과 신들에 얽힌 신비한 무릉도원의 이야기들이 흥미진진하게 펼쳐진다.

그야말로 무릉도원! 요선암과 요선정

옛 수주면의 무릉리와 도원리 두 곳의 이름을 가져와서 새롭게 탄생한 이름 무릉도원. 무릉리와 도원리가 함께 있다는 사실이 신기하기도 한데, 그 이름은 조선의 대학자 퇴계 이황이 영월 군수로 재직하던 시절 이 지역을 방문해서 그 경관에 반해 붙인 지명이라고 전한다.

자연의 신비 가득한 요선암
자연의 신비 가득한 요선암

자연스럽게 신선들이 노니는 모습이 떠오르는 무릉도원면 무릉리에 알쏭달쏭한 모습의 암석들이 강 위에 우후죽순 떠 있다. 조선 전기 4대 명필로 이름을 날렸던, ‘태산이 높다 하되 하늘 아래 뫼이로다...’를 읊었던 봉래 양사언은 평창군수 시절 이 풍경에 매료돼 ‘신선을 맞이하는 바위’란 뜻의 ‘요선암(邀仙岩)’ 세 글자를 기꺼이 헌납했다. ‘말 그대로 무릉도원이구나!’ 싶은 비경.

요선암 돌개구멍
요선암 돌개구멍

천연기념물 제543호로 지정된 요선암 사이를 흐르는 주천강은 이곳의 울퉁불퉁한 바위를 깎아 예쁜 항아리 모양의 바위, 돌개구멍을 만들어왔다. 강물은 자갈을 운반하다가 물을 만나 소용돌이치고, 이때 암석으로 된 강바닥을 침식하면서 움푹 파인 공간 돌개구멍이 만들어지게 되고, 물의 회전이 계속되면서 그 구멍은 점점 깊어진다. 요선암의 돌개구멍은 그렇게 장고한 세월 신선들이 이곳에서 놀며 깎아놓은 조각 작품처럼 남아있다.

요선정 앞에는 마애여래불상과 탑이있다
요선정 앞에는 마애여래불상과 탑이있다

왔던 길을 돌아나가 언덕을 오르면 주천강변의 절경과 함께 요선정에 남겨진 숙종대왕의 어제시를 감상할 수 있다. 영월로 유배와 생을 마감한 어린 왕 단종을 복위시킨 숙종은 경치 좋은 곳에 정자를 짓게 하고 시를 지어 보내 현판을 달게 했다. 이후 숙종의 아들 영조가 시를 추가했고, 정조대왕 역시 시를 지어 보내 현판을 달았다. 한양에서 1천리나 떨어진 산골 오지 정자 하나에 세 분의 임금이 시를 하사한 기막힌 역사가 지금도 요선정 안에 남아있다. 누군가는 숙종대왕이 꿈에서 보았던 강과 정자의 모습을 잊지 못하고 수소문하자 원주 목사 심정보가 주천면에 그런 곳이 있다고 하여 숙종대왕이 시를 지어 내렸다고도 전한다. 당시 요선정은 왕의 꿈을 논할 정도의 핫플레이스였다는 증거.

요선정 절벽에 아슬아슬 서 있는 소나무
요선정 절벽에 아슬아슬 서 있는 소나무

본래 이 숙종 어제시는 주천면의 청허루라는 정자에 있던 것인데, 일제강점기 홍수로 정자가 떠내려가고 현판은 주천면 경찰소장이었던 일본인이 소유하고 있었다. 이에 거부감을 느낀 무릉도원면의 요선계 회원들은 이 현판을 매입하고 봉안하기 위해서 요선정을 지었다. 정자 옆에는 이곳을 찾는 이들을 바라보는 둥글고 무표정한 얼굴의 마애여래좌상이 태연하게 서 있다. 좌상을 새긴 커다란 바위 뒤에는 절벽 아래 주천강으로 뛰어들 것 같은 소나무 한 그루가 아슬아슬하지만 우아한 자태를 뽐낸다. 마치 요선정에서 요선암으로 날아갈 것 같은 한 마리 새처럼.

우리나라 5대 적멸보궁 중 하나, 법흥사

깊은 계곡을 따라 끊임없이 캠핑 사이트가 이어져 매년 여름 수많은 휴가객들이 찾아오는 산 좋고 물 좋은 마을 법흥리에 천오백 년 사찰이 있다. 영월에서 가장 큰 사찰이자 가장 오래된 사찰 법흥사.

법흥사 적멸보궁
법흥사 적멸보궁

본래 643년 신라 선덕여왕 재위기, 자장율사가 부처님의 진신사리를 봉안하고 흥녕사란 이름으로 창건했다고 전한다. 당시 자장율사는 중국 오대산에 가서 간절한 기도 끝에 문수보살의 진신(眞身)을 친견했다. 그리고 부처님 사리 100과와 부처님께서 입으시던 가사 1벌을 당나라에서 가져와 오대산 일대를 다니며 기도를 계속했는데, 이때 오대산 월정사와 상원사, 설악산 봉정암, 태백산 갈래사 그리고 사자산의 흥녕사(지금의 법흥사) 등을 창건했다. 그렇게 법흥사는 부처님의 진신사리를 모시고 있는 우리나라 5대 적멸보궁 중 하나가 됐고, 대웅전이 없으면서 불상을 모시지 않은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다. 법흥사는 지금껏 여러 번의 화재로 절간을 모두 소실했다는 기록들이 남아 있음에도 적멸보궁은 여전히 남아있어 그 영험함이 피부로 느껴진다.

법흥사 사리탑
법흥사 사리탑

또한 적멸보궁 뒤에는 사리를 봉안한 것을 상징하는 자물통 문양이 새겨진 사리탑이 있고, 자장율사가 진신사리를 봉안하고 수도했다고 전하는 토굴이 남아있다. 가로 160cm, 높이 190cm정도의 토굴 안에서 주변에 가시덤불을 두르고 정진했다고 한다. 주차장에서 적멸보궁까지는 산책길이 꽤 가파르고 길지만, 법흥사 일대에 독특한 분위기를 자아내는 100년 이상의 소나무 군락이 우거져 시원한 여행길을 내어준다.

 

CEONEWS는 국제 의료 NGO ‘한국머시쉽‘의 활동을 응원합니다.
저작권자 © 씨이오뉴스-CEONEWS-시이오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