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EONEWS=최재혁 기자] 어느덧 코로나19가 발생한 지 2년이 넘었다. 감소세가 뚜렷이 보이다 확산하고, 다시 감소하다 확산하는 과정을 거쳐 이제 진짜 ‘풍토병’으로 전환될 듯하다. 

전 세계를 강타한 코로나19는 너무나 많은 사람을 괴롭혔다. 악화된 경제로 인해 문 닫는 소상공인이 넘쳐나고 시민도 여행은커녕 집 앞에 나가기를 꺼렸다. 그러니 당연히 문화생활은 저 멀리인 듯했다.

시민에게 가장 친숙한 문화는 ‘영화’가 아닐까. 5천만 명이 겨우 넘는 나라에 인구 20%에 가까운 ‘천만 영화’가 도대체 몇 편인가? 커플의 데이트 장소로 굳혀진 극장과 가족, 친구들과 문화를 즐기기에도 접근성이 뛰어나고 관심도도 비슷한 영화가 제격인 듯하다.

그러나 시민의 문화는 ‘영화’에 너무 갇혀있다. 물론 영화가 나쁜 건 아니지만, 현재 세상이 다양성을 강조하듯, 세상의 문화는 너무도 많다. 전시, 공연 등 세계 경제 대국인 ‘대한민국’은 찾아보면 문화생활을 다양하게 즐길 수 있다.

기자는 얼마 전부터 ‘연극’의 매력에 흠뻑 빠졌다. 자타공인 영화광이라고 할 수 있는 기자는 ‘연기’ 자체를 무척 좋아한다. 영화나 드라마도 배우의 연기를 보는 맛으로 즐긴다. 그런데 연극은 관객 바로 앞에서, 겨우 몇 미터 안 되는 무대에서 메소드 연기를 펼치는 배우를 보고 느낄 수 있다.

한 번 빠지다 보니 다양한 연극을 섭렵하게 됐고, 5월에 개막하는 ‘서울연극제’에도 참석하게 됐다. 

연극뿐만이 아니다. 서울 도심 곳곳에서 전시회가 다양하게 펼쳐진다. 몇 달 전 직접 방문한 ‘칸딘스키’ 전시회도 그렇고, 여의도 더 현대에서 펼쳐지는 미술전, 사진전이 그렇다. 꼭 거창하지 않아도 된다. 홍대, 종로, 대학로, 여의도 등 각지에서 미술, 사진 등 다양한 전시회를 만날 수 있다. 

공연도 마찬가지다. 평소에 클래식을 맛보기 힘든 시민에게 ‘지브리나잇 콘서트’는 귀중한 경험이었다. 비올레, 바이올린, 피아노의 협주는 기자의 심금을 울렸다. 게다가 친숙한 지브리 OST는 옛 향수까지 불러모았다.

아마 이들의 단점은 ‘수도권 집중화’가 아닐까? 아무래도 영화는 전국에서 만날 수 있지만, 현장에서 체험하고 감상하는 연극과 전시, 공연은 쉽게 만날 수 없다. 문화계에서 대책을 강구해야 하지 않을까.

영화를 사랑하는 대한민국 시민들에게는 다양한 문화를 즐길 권리가 있다. 그동안 접근성이 좋고 가까운 영화만을 즐겼다면, 새롭게 연극, 전시, 공연에 손을 대보면 어떨까? 

CEONEWS는 국제 의료 NGO ‘한국머시쉽‘의 활동을 응원합니다.
저작권자 © 씨이오뉴스-CEONEWS-시이오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