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거 없는 미의 기준이 건강을 해친다

 

필자는 발칙한 상상을 가끔 한다. 명동에서 “돼지야” 하고 불러보면 과연 몇 사람이나 뒤를 돌아다 볼까 하고 말이다.

몇 대 맞을 각오를 하고 올해 안에 꼭 해볼 생각이다.

문제는 뒤를 돌아다볼 일이 없는 사람도 뒤를 돌아다 볼 거란 거다.

살을 빼고 싶다는 대열에 동참하는 사람들을 보면 외견상 날씬한 사람들이 뜻밖에 많다. 왜곡된 미의 기준과 외모에 대한 집착은 자신의 판단력을 흐리게 만든다. 날씬한 몸이 이상적인 미의 기준이 된 것은 그리 오래지 않다. 자연스럽고 풍만한 몸을 가진 여성이 상당 기간 미인의 위치를 차지하고 있었다는 것은 희소성의 논리로 설명할 수 있다. 척박한 환경에서는 풍만한 몸이 동경의 대상이 될 수밖에 없다. 결국, 시대별 미의 기준은 다분히 사회적, 역사적, 경제적 가치를 반영한 결과다.

희소성을 놓고 보더라도 빈곤한 사회에서는 풍요로운 몸매를, 풍요로운 시대에는 날씬한 몸을 선호할 수밖에 없다.

풍요가 다시 빈곤으로 바뀌지 않는 한 서구 근대사회 이후 제시된 미의 지침은 쉽게 변하지 않을 것이다.

분명한 점은 자신의 삶과 몸을 바라다보는 방식에 어느 누가 깊이 관여하기 힘들다는 점이다. 이것이 건강을 고려하지 않은 채 설정된 자신만의 미의 기준을 쉽게 바꾸기 어려운 이유가 된다.

물론 비만은 죄악도 아니며 비난받을 일도 아니다. 그러나 플라톤이 일찍이 설파했듯이 신체는 정신을 담는 그릇이라고 했다. 비만으로 고통받는 신체가 긍정적인 정신을 담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닐 것이다.

어느 여학생의 카카오 스토리는 부지깽이를 연상케 하는 깡마른 여성의 몸을 닮고 싶다는 욕구를 그대로 담고 있다. 바람이라도 불면 날아갈 듯한 연약한 몸매를 꿈꾸는 것은 아닌지 걱정스럽다. 무릎과 허벅지가 닿지도 않을 정도로 피골이 상접한 모델이 외국에 일부 있긴 하다. 그러나 그녀들의 몸은 생리조차 허용하지 않는다. 지방은 여성의 임신, 출산, 수유 등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내분비조직이므로 상대적으로 그 양이 부족할 경우 우리 몸은 고육지책으로 불임이라는 결정을 내릴 수 밖에 없다. 오죽하면 WHO에서 모델들의 최저 체중을 제한하겠다고 나서겠나.

여기서 잠시 우리 주위의 현실을 되돌아보자. 우리 주위에는 운동을 다이어트의 수단으로 생각하는 많은 사람들이 있다. 그러나 운동으로 모든 것이 해결될 수 있을까. 오히려 땀 흘린 후에 고기와 술을 즐긴다면 그것은 운동이 아니라 먹기 위한 몸풀기에 지나지 않는다.

특히 식이조절이 병행되지 않는 운동은 오히려 심신을 지치게 할 뿐이다. 스스로 노력하여 식이, 운동 등 올바른 생활습관을 평생 가지고 가는 것 외엔 정답이 없다.

 

[다이어트명강사 박창희 프로필]

-경영인

-Fat Meiser

-다이어트전문가

-다이어트강사

-다이어트 칼럼니스트

-방송인

-한국창의융합인재포럼 전임교수

CEONEWS는 국제 의료 NGO ‘한국머시쉽‘의 활동을 응원합니다.
저작권자 © 씨이오뉴스-CEONEWS-시이오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