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정부의 메신저로 신재생에너지 확대에 힘쓰는 CEO

황창화 한국지역난방공사 사장
구조적 안정과 열 수송관 안전관리체계 개선 주력

황창화 한국지역난방공사 대표이사 사장은 열 판매 실적을 확대해 지역난방공사의 주력사업을 구조적으로 안정화하면서 전국 열 수송관 안전관리체계도 개선해 나가고 있다. 1998년부터 노무현 정부에서 활동했던 만큼 문재인 정부와 정치적 연관성이 깊다. 에너지 전환정책 등 지금 정부의 정책기조에 적합한 인사다.

[CEONEWS=장용준 기자] 황 대표는 1959년 2월12일 경상북도 예천군 출생이다. 서울 동성고등학교와 연세대학교 토목공학과를 졸업했다. 임채정 국회의원 보좌관으로 정치계에 입문했다. 노무현 전 대통령의 대통령직 인수위원회 전문위원으로 활동하고 이해찬 국무총리 정무2비서관, 한명숙 국무총리 정무수석을 거치면서 문재인정부와 인연을 맺었다. 

국회도서관장을 거쳐 한국지역난방공사 사장에 임명됐다. 문재인 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신재생에너지 확대 정책을 충실하게 이행하는데 역점을 두고 있다.

정치가에서 지역난방공사 사장으로 변신

황 대표는 2018년 9월19일 지역난방공사 임시 주주총회에서 대표이사로 선임됐고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의 제청과 대통령의 재가를 거쳐 2018년 10월1일 공식 취임했다.

황 대표는 취임사에서 “지역난방공사를 둘러싼 대내외 환경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처하겠다”며 “경제적 효율성과 사회적 정의가 조화를 이룰 수 있도록 끊임없이 함께 고민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지역난방공사 관계자는 “황창화 사장이 3년 임기 동안 에너지 전환 및 분산형 전원사업을 위해 그 주요 수단인 집단에너지산업 발전을 주도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고 말했다.

한편 더불어민주당 안에서는 황창화가 노무현 대통령 인수위원회 전문위원, 국무총리실 비서관 및 정무수석, 전 국회도서관장 등을 거치면서 정치경험과 조직관리 능력을 모두 갖춰 20대 총선 서울 노원병 후보로 적합하다는 얘기도 나왔다.

자유한국당 등 야당에서는 황창화가 지역난방공사 사장에 오르자 에너지부문과 지역난방공사 업무와 관련해 경력이 없고 에너지사업에 전문성을 충분히 갖추지 못했다는 비판도 제기했다.

취임 2개월 만에 닥친 위기와 리더십

황 대표는 취임 2개월 만에 백석역 열 수송관 폭발 사망사고가 발생했다. 하지만 사고를 수습하고 노후 열 수송관 개선책을 마련하는 등 리더십을 발휘했다.

백석역 열 수송관 폭발사고는 2018년 12월4일 경기도 고양시 지하철 3호선 백석역 인근에서 지역난방공사의 열 수송 온수배관이 파열돼 뜨거운 물이 솟구쳐. 뜨거운 물이 자가용 안에 있던 60대 남성을 덮쳐 남성이 사망하고 50여 명이 다친 대형 사고였다.

황 대표는 백석역 사고 이후 전국의 20년이 넘은 노후 열 수송관을 전수조사했다. 노후 열 수송관은 686km로 전체 열 수송관 2164km의 32%에 이른다. 지역난방공사는 전수조사 결과 노후 열 수송관 203곳에서 지표면보다 온도가 3도 이상 높은 이상징후를 감지했다.

황 대표는 취임한 지 2개월밖에 안 됐지만 백석역 사고 때 직접 전면에 나서 사고를 해명하고 적극적으로 대응책을 내놓았다. 2018년 12월13일 정부 세종청사 산업통상자원부 기자실에서 대국민 사과를 하고 ‘백석역 열 수송관사고 수습 및 재발방지대책’을 발표했다.

황 대표는 “열 수송관 안전관리시스템에 변화하는 내외부 환경을 충분히 반영하지 못했고 사고 발생 초기 대응에도 미숙했던 점을 머리 숙여 사과한다”며 “이번 사건을 계기로 임직원의 의식 전반과 업무시스템을 환골탈태하겠다는 각오로 전면적으로 혁신하겠다”고 말했다.

감사원이 2019년 7월2일 발표한 ‘열 수송관 안전관리실태’에 따르면 황 대표 취임 전 온수관 누설 등을 실시간으로 파악하는 지역난방공사의 감시시스템 가운데 26%가 제대로 작동하지 않고 있었다.

감시시스템이 설치된 8623개 구간 가운데 2245개 구간에서 감시가 이뤄지지 않았다. 지역난방공사는 특정 감시구간에서 이상신호가 발생해도 손상된 관로를 복구하지 않다가 감시시스템이 작동하지 않은 뒤부터는 ‘미감시’ 구간으로 분류해 감시하지 않은 것으로도 조사됐다.

지역난방공사는 온수관 교체를 위한 온수관 잔여수명 평가작업에서 결과도 조작한 것으로 드러났다.

지역난방공사는 2010년 7월 온수관 중장기 유지관리계획을 수립하기 위해 독일 전문연구소에 잔여수명 평가를 의뢰했다. 독일 연구소에서는 잔여 기대수명을 40년 이하로 판단했지만 지역난방공사 직원이 2012년 10월 기대수명이 늘어나도록 방법을 바꿔 다시 산정했다.

황 대표는 바로 이런 부분들을 혁신하겠다고 선언한 것이다.

한국지역난방공사 실적

황 대표는 2019년 10월1일 나주 고형폐기물(SRF) 열병합발전소 시험가동과 관련해 주민들과 합의를 끌어냈다.

지역난방공사는 나주 SRF열병합발전소를 2017년 12월 완공했지만 지역 주민들과 지역 공공기관 노동조합 등에서 환경문제와 건강침해를 이유로 반대해 2년째 시험가동도 하지 못하고 있었다. 지역난방공사의 2018년 순손실 대부분이 나주 SRF열병합발전소를 가동하지 못해 발생했다.

2018년에 적자 2265억 원을 봤다. 그 전년도보다 순이익이 2964억 원 줄어들었는데 그 가운데 나주 SRF열병합발전소를 가동하지 못해서 본 손실이 2467억 원으로 대부분을 차지했다.

2010년 상장된 뒤로 해마다 30~40% 수준의 배당성향을 보이며 고배당 주식으로 꼽혔지만 2018년도에 처음으로 배당도 하지 못하게 됐다.

황 대표는 ‘나주 SRF 현안 민관협력 거버넌스 기본합의서 체결 관련 입장문’에서 “이번 기본합의서 체결은 지역사회 갈등을 대화와 타협으로 해결한 성공적 사례”라며 “지역난방공사는 기본합의서 내용을 바탕으로 나주 SRF열병합발전소를 안전하고 친환경적으로 운영하겠다”고 말했다.

지역난방공사, 산업통상자원부, 전라남도, 나주시, 범시민대책위원회로 구성된 민관협력 거버넌스는 나주 SRF발전소 가동문제를 놓고 1월부터 9개월 동안 13차례 회의를 거쳤고 9월 26일 기본합의안을 마련할 수 있었다.

앞으로 나주시에서 SRF연료 사용을 승인하면 2020년 1월부터 3개월 시험가동을 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시험가동 뒤에는 주민 수용성 조사를 진행해 발전소 연료를 SRF로 계속 사용할지 LNG로 바꿀지 결정한다. 나주 SRF열병합발전소를 액화천연가스(LNG)발전소로 전환하게 될 때를 대비해 지역난방공사, 산업부, 전라남도, 나주시 등은 손실보전방안도 논의하기로 했다.

법적으로는 나주 SRF열병합발전소를 가동해도 되지만 황창화는 민관협력거버넌스를 구성해 주민과 대화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힘썼다.

비전과 과제

황 대표는 열요금 인상을 바탕으로 지역난방공사의 수익성을 구조적으로 개선해나갈 수 있게 됐다.

지역난방공사는 그동안 영업이익이 2015년 2099억원에서 2016년 1617억원, 2017년 1198억원, 2018년 145억원으로 꾸준히 줄어들었다. 하지만 산업통상자원부의 2019년 8월 열요금 3.79% 인상 결정으로 2019년 하반기부터 영업이익이 다시 늘어날 수 있을 것으로 분석됐다.

2020년부터는 다시 배당도 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됐다.

나주 SRF발전소를 정상가동하기 위해 시험가동, 주민 수용성조사 등도 진행해 나간다. 나주 SRF발전소를 LNG연료발전소로 바꾸기 위해 손실보전방안도 산업부, 지자체 등과 논의한다.

나주 SRF열병합발전소 민관협력거버넌스 기본 합의서에 따르면 손실보전방안은 기본합의서가 타결된 2019년 10월부터 1년 안으로 부속합의로 마련돼야 한다. 민관협력거버넌스는 2019년 10월22일 부속합의를 논의하기 위해 후속대책 추진단을 꾸렸다.

문재인 정부의 에너지 전환정책과 수소경제정책에 발맞춰 지역난방공사도 수소연료전지와 수소차사업을 추진한다. 2018년 10월 경기도 화성 동탄지사 부지에 11MW 규모의 수소연료전지발전소를 지어 가동하고 있고 앞으로도 더 확대해 나가기로 했다

열 수송관 건설 노하우를 활용해 수소의 생산과 수송 인프라를 구축하는 사업도 시작하기로 계획을 세웠다.

수소사업태스크포스(TF)도 꾸려 전국 19개 지사를 통해 수소전기차 민간 보급사업도 확대한다.

황창화 대표는 문재인 정부의 정책 기조를 최일선에서 지키고 발전시켜야 하는 과제를 안고 고군분투하고 있다. 

CEONEWS는 국제 의료 NGO ‘한국머시쉽‘의 활동을 응원합니다.
저작권자 © 씨이오뉴스-CEONEWS-시이오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